맨위로가기

이병호 (광학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병호는 대한민국의 광학자이다.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를 역임했다. 광학회, SPIE, IEEE의 위원, 정보 디스플레이 학회의 펠로우로 활동했으며, 한국광학회 회장,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회장,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학장을 역임했다. 홀로그래피, 적층 영상, 광섬유, 표면 플라즈몬 등 광학 엔지니어링 분야를 연구했으며, 3차원 증강 현실 기술 개발에 매진했다. 2016년 과학기술훈장 진보장을 받았으며, 2022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젊은과학자상 수상자 - 방효충
    방효충은 위성 자세제어 분야 전문가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충남대학교, KAIST 등에서 인공위성 개발 및 연구에 기여했으며 젊은과학자상과 과학기술훈장을 수상하고 국가우주위원회 부위원장으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항공우주공학자이다.
  • 젊은과학자상 수상자 - 현택환
    현택환은 나노 입자 합성 분야의 권위자로, 승온법을 개발하고 균일한 나노 입자 합성 및 MRI 조영제 개발 등의 업적을 통해 젊은 화학자상과 호암상 공학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화학자이다.
  • 경암학술상 수상자 - 김지하
    김지하는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사회운동가로, 1970년 부패 권력 비판으로 필화 사건을 겪고, 1974년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가 석방 후 생명 운동을 전개했으며, 1991년에는 분신 정국을 비판하여 변절 논란에 휩싸였다.
  • 경암학술상 수상자 - 진은숙
    진은숙은 서울대학교 작곡과를 졸업하고 죄르지 리게티를 사사한 대한민국의 작곡가로, 베를린 필하모닉 등 세계적인 오케스트라의 연주와 다수의 권위 있는 상 수상, 그리고 서울시향 상임작곡가 및 통영국제음악제 예술감독 역임 등 한국 현대음악 발전에 기여했다.
이병호 (광학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병호
출생1964년
사망2022년 11월 7일 (향년 58세)
분야3차원 디스플레이
나노 광학
직장서울대학교
모교서울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2. 학력

3. 경력


  • 1993년 ~ 1994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 박사후연구원
  • 1994년 9월 ~ 2022년 11월: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 2015년 9월: 환태평양 레이저 및 전자광학학술회의 운영위원장, 한국광학회 부회장
  • 2016년 3월: 제11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기정보공학부 학부장
  • 2019년 3월 ~ 2020년 2월: 한국광학회 회장
  • 2021년 1월: 제15대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회장
  • 2021년 9월: 제30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학장
  • OSA, SPIE, IEEE 위원[3]
  • 정보 디스플레이 학회 펠로우[3]
  • OSA 이사, OSA 회원 및 교육 서비스 위원회 의장, OSA 제작, 설계 및 계측 기술 부문 의장[3]
  • Applied Optics and Photonics China 의장, CLEO Pacific Rim 운영 위원회 의장[3]
  • ''Light: Science & Applications''(NPG), ''Advances in Optics and Photonics''(OSA), ''Optica''(OSA) 편집 위원[3]

4. 연구 분야

이병호와 그의 서울대학교 연구진은 시스템 수준에서 소자 수준에 이르는 광학 엔지니어링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왔다. 오랜 기간 동안 홀로그래피, 적층 영상, 광섬유, 표면 플라즈몬 외에도, 3차원 증강 현실을 위한 첨단 머리 착용 디스플레이, 광선장 디스플레이 및 실시간 3차원 현미경 개발에 매진했다. 또한 렌즈, 편광자, 방향성 결합기, 컬러 필터, 그리고 전자기 메타표면 및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 기반의 공간 광 변조기와 같은 더욱 기능이 향상된 광학 소자도 연구했다.

5. 학회 활동

한국광학회 회장(2019년 3월 ~ 2020년 2월)과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회장(2021년 1월)을 역임하였다.[3] 2015년 9월에는 환태평양 레이저 및 전자광학학술회의 운영위원장, 한국광학회 부회장을 역임하였다. OSA, SPIE, IEEE의 위원이었으며, 정보 디스플레이 학회 펠로우였다.[3] OSA 이사, OSA 회원 및 교육 서비스 위원회 의장, OSA 제작, 설계 및 계측 기술 부문 의장을 역임했다.[3] Applied Optics and Photonics China 의장, CLEO Pacific Rim 운영 위원회 의장을 역임했다. ''Light: Science & Applications''(NPG), ''Advances in Optics and Photonics''(OSA), ''Optica''(OSA) 편집 위원이었다.[3]

6. 수상

연도수상 내역
2011년제5회 젊은과학자상 공학부문[3]
2016년과학기술훈장 진보장[3]
2021년제17회 경암학술상 공학 부문[3]
2013년서울대학교 학술상[3]
2009년대한민국 이달의 과학자상[3]


7. 사망

이병호는 2022년 11월 7일 5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4]

참조

[1] 웹사이트 Google scholar Byoungho Lee https://scholar.goog[...] 2022-03-02
[2] 웹사이트 SNU College of Engineering Dean greeting https://eng.snu.ac.k[...] 2022-03-02
[3] 웹사이트 2014 Newly Elevated Fellows https://www.ieee.org[...]
[4] 뉴스 '세계적 광학 권위자' 이병호 서울대 前공과대학장 별세 https://www.yna.co.k[...] Yonhap News Agency 2022-11-07
[5] 웹사이트 https://biz.chosu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